한쪽 손의 손가락에서 살이 찐 느낌이 나기 시작했다. 손바닥과 손가락이 연결된 관절부위에 살이 쪄 자연스럽게 굽혀지지 않는 것 같았다. 월요일 아침 소지가 잘 굽혀지지 않고, 굽혀지며 '딱' 소리가 났다. 그리고 생각했다. 조만간 손 안 굽혀지겠는데~ 다음 날, 화요일 소지와 약지가 잘 굽혀지지 않고, 굽혀지며 '딱' 소리가 났다. 그리고 생각했다. 내일 손 안 굽혀지겠는데~ 모든 것이 내 예상과 달리 너무 빨리 진행되고 있었다. 정형외과에 12월에 가려고 했는데 다음 날, 수요일 예상대로 손가락이 전혀 굽혀지지 않았다. 바로 근처 정형외과로 갔다. 손가락을 움직이는데 불편함이 있으며, 손가락에서 소리가 나고, 가끔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다. '방아쇠 수지'라고 말씀하시며 촬영 후 다른 환자들은 통증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RTwv/btrZjfRWpR7/5zf1ktwseP7exZllpsNXmK/img.jpg)
'천 번의 죽음이 내게 알려준 것들'이란 책에 나오는 글이다. 암성 통증과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잘못된 상식 때문에 의미 없는 통증을 껴안고 지내는 환자들이 가진 흔한 오해 중 하나는 '마약성 진통제를 자꾸 쓰면 중독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틀린 말이지만 많은 사람이 걱정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모르핀은 아무리 써도 통증에 대한 약효가 줄지 않는다. 전문적으로 표현하자면 '모르핀은 통증에 대한 내성이 없다.' 마약성 진통제에 대해 오해를 하고 있는 건 환자와 보호자들만이 아니다. 의료진도 마찬가지다. 3-4, 4-5, 5-1(6) 번 추간판 탈출증으로 엉덩이부터 하반신 운동신경 마비, 감각신경 마비였으나, 허리 위로는 엄청난 통증이 있던 나에게 감기로 인한 기침은 정신을 차릴 수 없는 통증을 주었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3VII/btrRt7z2WMQ/M5HARFLZSQMR5kkMDecju0/img.png)
Tebonin 갑자기 삐~ 소리가 엄청 켜지며 이명이 심해졌다. 20년 넘게 내 코와 귀를 담당하신 선생님은 이명에 익숙해지고 신경을 쓰지 않도록 하라고 하셨지만 종일 들리다 잠들어야 사라진다면 그러기 쉽지 않다. 독일에서 몇 통 사두었던 테보닌을 다시 먹고 있다. 두 번 정도 아주 심했을 때 이명이 사라졌었는데, 난 플라세보(플라시보) 효과가 강한지 이번에도 먹자마자 귀에서 들리던 삐~ 소리가 사라졌다. 어제 오전 잠깐 삐~ 소리가 들리기는 했지만 오후까지 들리지는 않았다. 이명이 있다면 제약사에서 나온 약을 먹어보기를 추천한다. 뭘 먹을지 모르겠다면 테보닌! 타사의 제품도 여러 개 먹어봤으나 효과는 없었다. 테보닌 복용법은 2~4주 복용 후 효과가 없으면 중단하고, 효과가 있다면 12주 이상 복용하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h62BD/btrQkRrVfWA/JOQTdrpD3A6Sj2aDT1OUzK/img.png)
[2023.12.22] 목소리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와 예전 목소리 나오지만, 예전 목소리 내던 방식으로 노래를 부르며 목이 너무 아파한 곡을 제대로 부르지 못해 예전 바뀌었던 목소리로 말을 하고 노래를 부르고 있다. 2021년 6월 4일 백신 접종 후 황달, 겨드랑이 통증과 부어오름,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이상 증세가 있었다. 접종 후 두 달 동안 회복되었지만, 아직까지도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황달은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시 부작용으로 생각된다. 너무 아파서 아세트아미노펜이 나에겐 맞지 않아 먹지 않는데 첫 접종 당시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먹으라는 얘기 때문에 먹었는데 좀 많이 먹은듯하다. 그 후 외국의 지인이 백신접종 후 황달로 고생 중이라 하여 타이레놀 복용하는지 물으니 복용 중이라 하여 이부프..
허리 질환으로 인한 방사통, 여러 질환으로 인한 좌골신경통인데 어떤 운동을 했는지? 또는 어떤 운동, 스트레칭을 하고 있는지? 걷기는 어떻게 했는지? 댓글이나 쪽지로 질문을 받습니다. 제 글에 회복 전 걷기 등 어떤 운동도 하지 않았다고 적혀있는데 그래도 많이들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재활 치료의 정의 넓은 의미의 재활 치료란 장애를 가진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최적의 신체적, 감각적, 지능적, 심리적, 사회적 수준을 성취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수행하는 모든 치료를 말한다. 또한 장애가 없더라고 통증이나 일시적 질환, 외상 등으로 인해 환자가 영위하는 삶의 질이 떨어질 때,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모든 치료를 뜻한다. 한편 재활 치료가 가지는 좁은 의미는 치료 중심의 의학과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치료 ..
20년 전 3-4, 4-5, 5-1(6) 추간판 탈출증(수핵 탈출증 이하 디스크)로 허리 밑 하반신 운동신경마비로 움직일 수 없었고, 하반신 신경마비로 허리 통증 외에 방사통은 없었습니다. 치료, 회복을 도와주신 교수님, 전문의 선생님, 그리고, 관리를 도와주신 전문의 선생님의 공통적인 말씀과 치료 후 제 생각을 적습니다. 1. 운동신경마비. 움직이지 말고 가만히 있어라. 움직여야 할 때는 몸이 안다. 병원 첫 진료 시 가만히 누워있다가 한 달 후 나아지면 MRI 촬영하자고 하셨습니다. 가만히 있는 것이 걱정되어 "운동 뭐 해야 하나요?" 여쭤보니 "지금은 가만히 누워만 있고, 안 아프면 움직이게 된다." 입원 전 1개월, 입원 후 1개월 하반신 마비로 움직이지 못했습니다. 아주 작은 움직임에도 허리 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KiIZ/btrswWEkJCJ/LKDyQD53DfkNkG72W9cqj0/img.jpg)
'침상안정'의 기회는 딱 한 번 뿐입니다. 가만히 있으면 낫지 않을 것 같은 불안함 이해하지만, 한 번의 기회를 버리지 마세요! 움직이지 마세요. (운동이 하고 싶다면, '절대안정'에 가까운 '침상안정' 3개월 해보고 하세요! 안 그럼 평생 하게 될 테니) '보존치료', '침상안정' 제대로 하고 계신가요? 침상안정종일 침대위에서 생활한다는 정도의 안정을 나타내는 말. 그러나 실제로는 시설에 따라서 그 정도에는 약간 차이가 있으며 절대안정에 가까운 상태에서 화장실 보행이 가능하다는 상태까지 여러가지이다.절대안정가장 안정된 상태에서 생리학적으로는 기초대사에 가까운 대사량을 유지하면서, 정신적 활동에 의한 소비 에너지를 최저한으로 억제한 상태. 즉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체내 방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tSnG/btrsAce7DIt/IVrwslK8LO01tQMjkJlNk1/img.jpg)
통증이 발생한 후 3개월까지 몸의 회복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저는 거의 4개월을 가만히 누워만 있었습니다. 3개월이 지난 분 중 걷기 또는 좋다고 하는 스트레칭, 운동을 했으나 아직 통증이 있다면 예전의 저라면 보존치료를 권하겠지만, 지금은 3개월이 지났다면, 지난 3개월처럼 3개월 지낸다고 좋아지지 않을 테니 수술이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2개월 누워만 있은 후 통증이 사라졌습니다. 처음 병원 가면 의사 선생님들이 약 먹고 지켜보자고 하는 이유가 위에 말한 3개월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의사 선생님의 "무리하지 말고 쉬세요!"의 의미는 말 그대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쉬세요! 운동하지 말고 쉬세요! 걷기 하지 말고 쉬세요! 스트레칭하지 말고 쉬세요! 그냥 쉬세요! 3개월 가만히 누워서..
침상안정, 보존치료 후 20년이 넘은 후 보존치료를 고려 중인 분을 위한 글입니다. 보존치료의 시작은 침상안정(휴식)입니다. 가만히 쉬는 것입니다. 통증이 있음에도 가만히 누워서 쉴 수 없거나, 짧은 시간이라도 움직이거나, 운동(걷기 포함) 할 사람, 통증 발생한지 오래됐거나, 수술했던 분에게 보존치료가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검진 후 의사 선생님께서 침상안정, 보존치료를 권하셨다면, 아무것도 하지 말고 가만히 있으세요. 가만히 쉬세요. "아프다면, 쉬라는 몸의 신호다!"라는 어느 의사 선생님의 말처럼 쉬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됩니다. 통증 없이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할 때까지 최소 한 달에서 두 달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고 쉬었던 것이 회복에 제일 중요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검진 전 혼자 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zIBZ/btrszkJ0nTw/j0B5A8petNwJCzE7miniS0/img.png)
이 글은 이상근증후군으로 인한 좌골신경통 치료 후 완치된 경험을 비슷한 증상으로 고생 중인 분들이 완치 가능하니 꾸준히 치료받아 일상으로 돌아가길 바라는 마음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적었습니다. 이상근증후군으로 2개월 엄청 고생하고 18주, 4개월의 치료로 완치 후 다음의 티스토리와 네이버에 비슷한 병(좌골신경통)으로 고생하는 사람에게 나을 수 있다는 응원을 하고자 글을 남긴 후 같은 증상이라며 길게는 몇 년째 짧게는 몇 개월째 대학병원 여러 곳을 다녔지만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며 쪽지와 댓글로 질문을 받은 후 저에게 물어보고 싶으나 물어보지 못하는 분을 위해서 정리하였습니다. 20대 초반 디스크(3-4, 4-5, 5-1)로 인한 하반신(운동 신경 마비, 감각 신경 마비) 마비로 움직이지 못..